
CRPS(복합부위통중증후군)
외상, 수술, 골절, 감염 또는 신경손상 후 발생하지만, 그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.
주로 신경계의 과도한 반응이 주요 원인이며, 자율신경계와 면역계가 과도하게 반응하면서 통증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유형
CRPS-I (Reflex Sympathetic Dystrophy, RSD)
· 외상이나 손상 후 발생하나, 신경손상이 명확히 보이지 않는 경우입니다.
· 팔, 다리, 손목 등에 발생합니다.
CRPS-II (Causalgia)
· 신경이 직접적으로 손상된 경우 발생합니다.
· 원인은 총상, 수술 중 신경손상 등이 있습니다.
치료방법
-
약물치료
· 통증완화를 위한 진통제 , 항우울제, 항경련제 등이 사용됩니다.
-
물리치료
· 손상된 부위를 더 많이 움직여서 기능 회복을 돕고,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.
-
신경차단술
· 신경차단술, 교감신경차단술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.
-
심리치료
· 만성통증에 대처하는 심리적 지원이 중요할 수 있어 인지행동치료(CTB)가 유용할 수 있습니다.
-
신경자극기
· 신경자극기를 삽입하여 신경의 과도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CRPS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, 조기에 치료하면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