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PS/섬유근통 1 페이지


CRPS/섬유근통

  • CRPS
  • 섬유근통

CRPS(복합부위통중증후군)

외상, 수술, 골절, 감염 또는 신경손상 후 발생하지만, 그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.

주로 신경계의 과도한 반응이 주요 원인이며, 자율신경계와 면역계가 과도하게 반응하면서 통증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유형

CRPS-I (Reflex Sympathetic Dystrophy, RSD)

· 외상이나 손상 후 발생하나, 신경손상이 명확히 보이지 않는 경우입니다.

· 팔, 다리, 손목 등에 발생합니다.

CRPS-II (Causalgia)

· 신경이 직접적으로 손상된 경우 발생합니다.

· 원인은 총상, 수술 중 신경손상 등이 있습니다.

치료방법

  • 약물치료

    · 통증완화를 위한 진통제 , 항우울제, 항경련제 등이 사용됩니다.

  • 물리치료

    · 손상된 부위를 더 많이 움직여서 기능 회복을 돕고,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.

  • 신경차단술

    · 신경차단술, 교감신경차단술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.

  • 심리치료

    · 만성통증에 대처하는 심리적 지원이 중요할 수 있어 인지행동치료(CTB)가 유용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신경자극기

    · 신경자극기를 삽입하여 신경의 과도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
CRPS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, 조기에 치료하면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섬유근통(Fibromyalgia)

만성적인 통증과 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

근육, 인대, 힘줄 등에 광범위한 통증이 발생

피로감, 수면장애, 집중력 저하(인지 기능 장애) 등 다양한 증상

스트레스, 감정적인 문제, 특정 환경적 요인들이 증상을 악화시킵니다

주요증상

만성적인 전신 통증

· 주로 목, 어깨, 허리, 고관절 등에서 발생하나, 전신적인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피로감

·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피로가 계속 남아 있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.

수면장애

· 깊은 수면을 취하기 어렵거나, 자주 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인지 기능 장애

· 집중력, 기억력, 사고력이 저하되는 증상, ‘섬유근통 뇌’ 라 불립니다.

기타증상

· 두통, 소화불량, 불안, 우울 등의 정신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
원인

· 섬유근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

· 유전자, 환경적 요인, 신경 화학적 불균형,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
치료

섬유근통은 완치하는 방법은 없으나, 증상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있습니다.

· 약물치료 - 진통제. 항우울제 등

· 물리치료

· 운동요법

· 인지 행동 치료

· 스트레스 관리, 휴식

개인마다 증상과 정도가 다를 수 있어,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필요 합니다.


회사명 : 김기엽마취통증의학과 대표 : 김기엽
주소 : 부산시 연제구 중앙대로 1114 세종빌딩 3층
E-mail : aneyob@naver.com Tel : 051-863-5575 Fax : 051-863-5175

Copyright © 김기엽마취통증의학과 All rights reserved.